Study 42

[확률] 표본공간과 사건

표본공간이란?표본공간(Sample Space)은 확률 실험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결과의 집합입니다.표본공간은 일반적으로 S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동전을 한 번 던지는 실험에서 나올 수 있는 모든 결과는 앞면(H) 또는 뒷면(T)입니다.이 경우, 표본공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S={ H, T } 또 다른 예로, 주사위를 한 번 던지는 실험에서 표본공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S={1, 2, 3, 4, 5, 6 } 표본공간은 실험의 결과가 확률적으로 정의되는 모든 가능한 결과를 포함해야 하며, 이로부터 다양한 사건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사건이란?사건(Event)은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으로, 하나 이상의 결과로 구성됩니다.사건은 어떤 실험에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결과들..

Study/통계학 2024.08.12

[확률] 확률의 공리와 명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확률의 공리와 몇가지 명제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확률의 공리란 수학에서 증명을 하지 않기로 약속한, 즉 당연한 것으로 가정하는 명제인데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공리 1모든 확률은 0보다 크고 1보다 작다.공리 2표본공간 S에서의 확률은 1이다.공리 3상호 배반인 임의의 사건 E_1, E_2... 등에 대해 다음식이 성립한다. 확률의 공리를 바탕으로 몇가지 명제를 도출할수 있습니다.A의 여사건의 확률은 1 - A의 확률과 같습니다.두 사건 A와 B에 대해 A U B의 확률은 A + B - A n B의 확률과 같습니다.두 사건 A와 B가 일어날 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사건 B가 일어났다는 전제 하에 A의 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B_1, B_2...가 전부 상호배반이고 합집합이 표..

Study/통계학 2024.07.22

[확률] 다항계수와 증명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다항계수와 그에 대한 증명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다항계수(Multinomial Coefficients)는 여러 개의 항이 있는 다항식을 전개할 때 나타나는 계수를 의미합니다. 이항계수의 확장 개념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될것 같습니다.다항계수는 우선 다음과 같은 다항식의 전개에서 등장합니다: 위의 다항식을 전개하면 다음과 같이 전개할수 있습니다. 각 항의 계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집니다.위의 이미지에서 등식의 왼쪽을 다항계수라 부르고, 이것은 곧 n에서 a_1, a_2, ... , a_k 각각의 개수를 뽑는 방법의 수를 의미합니다. 그럼 이제 다항계수를 증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다항식을 전개하면 위에도 넣었지만 다음과 같이 됩니다.여기서 각 항을 만들기 위해 x_1을 a_1번, ..

Study/통계학 2024.07.21

[확률] 이항정리와 증명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항정리와 증명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이항정리란 조합을 구하는 형식을 이용해 두 항의 다항식을 전개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nCk는 조합을 구할때의 형식과 동일합니다. (이항정리라고도 부릅니다) 귀납법에 의한 증명n = 1일 경우 다음식이 성립합니다. n - 1에 대해 다음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할수 있습니다.이 식을 x와 y로 시그마를 분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 식에서 앞의 시그마의 k + 1 = i로 두고, 뒤의 시그마에서 k = 1로 두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럼 몇가지 문제를 통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Q1) (x+y)^4를 전개하시오. 오늘은 이항정리와 증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오늘도 긴 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Study/통계학 2024.07.17

[확률] 조합의 증명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합의 증명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조합의 공식은 지난번에 다뤘지만 간단히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증명 조합은 n개의 원소중에서 r개의 원소를 선택하는 방법의 개수입니다.즉 이를 계산하기 위해 먼저 n개의 원소를 고르는 모든 순열의 수를 구합니다. -> n! 다음으로 r개의 원소를 선택할텐데, 이 r개의 원소를 고르는 순열의 수를 구합니다. -> r!그렇게 된다면 나머지 n-r개가 남을텐데요.이 n-r개의 원소를 고르는 순열의 수를 구해줍니다 -> (n-r)! 순열에서 다뤘듯이 중복된 값을 나누어주어야겠죠.그래서 n개의 원소를 고르는 순열의 수(n!)에서 r개의 원소를 고르는 순열의 수(r!)와 나머지 n-r개의 원소를 고려한 순열의 수로 나누어줍니다. (n-r)!  이 외에도 ..

Study/통계학 2024.07.16